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내부 정보를 이용해서 부동산 투기를 했던 지난해 'LH 사태' 기억하시죠. <br> <br>당시 직원들의 이해 충돌을 막지 못해 경질됐던 LH 경영진, 지금 보니 LH 사내 대학 교수로 임용돼 있었는데.<br> <br>맡은 강의 주제가 이해충돌 방지와 공직자 윤리였습니다.<br> <br>연봉 9천만 원을 받으면서요. <br> <br>최수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해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, LH 임직원의 부동산 투기로 면직된 A 전 LH 임원이 LH사내 대학에서 공직자 윤리를 강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<br>올해 2월 LH토지주택대학교 비전임교수로 임명된 A 씨는 지난 한 학기 투기방지 관련 법규와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, 퇴직자 특혜 의혹 등을 주제로 강의했습니다. <br> <br>'LH 사태'로 물러난 경영진이 이해충돌과 청렴윤리를 직원들에게 가르친 겁니다.<br> <br>A씨는 LH사태 당시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가 집중된 지역의 본부장 등을 지냈습니다. <br> <br>A씨는 지난 학기 총 8시간을 강의했는데 올해 연봉으로 9039만 원을 받을 예정입니다. <br> <br>2학기 예정된 강의시간을 고려해도 한 시간 강의에 161만 원 정도를 받는 셈입니다. <br><br>A 씨 외에도 비전임교수 6명 중 4명이 LH 투기 사태 당시 경영진인데 9천만 원 수준의 연봉을 받을 예정입니다.<br> <br>[김학용 / 국민의힘 의원] <br>" LH 사태 책임을 지고 퇴임한 임원들이 사내 대학 비전임교수로 재취업해서 고액의 연봉을 받는 건 아직 정신 못차리는 LH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…" <br> <br>LH는 "A 씨가 투기행위에 책임을 지고 물러난 건 맞지만 직접 당사자는 아니다"라며 "LH 사태 중심에서 몸소 체험을 했기에 적정하다 판단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이희정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ichannela.com